Post

반응형

 

우리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소변이라고 합니다.

 

소변을 볼때 마다 소변 색깔이 조금씩 다르잖아요~

 

그 소변의 색깔과 냄새 등으로 신장 기능과 암 초기 여부를 알 수가 있다고 합니다.

 

소변의 색으로 나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보도록 하세요!!^^

 

 

 

 

 

가장 건강한 소변의 색은 연한 노란색 입니다.

 

색이 연하거나 짙어지는 것은 수분 섭취나 비타민 B 섭취에 영향을 받습니다.

 

연한 노란색이 가장 이상적이며 맑고 투명하며 약간의 지린내가 나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보다 더 진하거나 다른 색을 띤다면 건강 이상을 의심해 볼 수가 있습니다.

 

 

 

 

< 소변 색깔 >

 

* 투명한 무색 - 물 섭취량이 많은 경우

 

* 옅은 노란색 - 정상으로 몸에 수분이 적당함

 

* 맑은 노란색 - 정상으로 약간의 지린내 외에는 거의 내가 없고 소변에 찌꺼기가 없음

 

* 거품이 있는 노란색 - 거품이 생기는 경우는 땀을 많이 흘린 경우, 심한 스트레스, 열성 질환 등으로 진한 소변이 나오면서 거품이 생길 수 있음

 

* 짙은 노란색 - 수분이 부족이 의심되고 지나치게 짠 음식을 먹은 경우

 

* 주황색 - 수분이 부족하거나 간, 담증에 이상이 있을 수 있음

 

* 붉은색 - 요로나 요도의 결석, 염증, 종양, 전립선, 방광 등이 의심

 

* 검붉은색 - 신장 결석, 염증, 종양, 요관 등이 의심

 

* 흑갈색 - 간 질환이 있어나 심각한 탈수 상태

 

* 선홍색, 붉은색 - 무리한 운동으로 근육 손상이 있을 때

 

* 파란색, 초록색 - 식용 색소가 든 음식 섭취 또는 약물 복용에 의한 경우

 

* 흐린 백색 - 심각한 요로 감염으로 의심

 

 

< 소변 냄새, 혼탁함 >

 

소변에서 나는 냄새도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 은은한 과일향 -  당뇨병 의심

 

* 암모니아 냄새 - 방광염

 

* 소변이 혼탁함 - 신우신염, 방광염 등 염증성 질병 의심

 

 

 

< 소변 횟수 >

 

정상 배뇨 횟수는 하루 기준으로 성인이 경우 5~6회입니다.

 

소변 자주 보면서 소변량이 많아지면 요붕증, 당뇨병 의심할 수 있으며 방광염은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또한 중년 남성인 경우 소변을 봐도 시원하지 않고 잔뇨감이 든다면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의심할 수 있습니다.

 

 

소변으로도 우리 건강을 진단할 수 있다니 그냥 넘기지 마시고 이상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바로 병원에 가셔서 진단을 받아도 좋을 듯합니다~^^

 

 

반응형

Post

반응형

오늘은 현재 국내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많아지고 몇 년 후면 본격적으로 고령화 시대에 돌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부동산 수요가 꾸준한 서울 수도권과 달리 개발 여력이 부족하고 인구 고령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지방에는 빈집 쇼크가 우려된다고 합니다.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2015년 11월 기준 우리나라 주택(빈집 포함)은 1637만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빈집은 107만 가구로 전체의 6.5%를 차지하고 빈집은 1990년 19만 7000가구에서 2010년 81만 9000가구로 증가했습니다. 현재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우리나라의 빈집 수가 2030년 128만 가구(5.1%), 2050년에는 302만 가구(10.1%)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반면에 서울시내 빈집은 95년(4만 가구) 이후 점점 증가 2005년부터 7만9000가구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실 지방이 노후주택 문제가 가장 급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의 빈집 가운데 40% 이상이 3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이라고 합니다. 특히 전남은 노후주택 비율이 49%에 달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저출산과 고령화, 주택 과잉 공급이 겹치면서 일본식의 '빈집 쇼크'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조기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2013년 기준으로 빈집이 전체 주택의 13.5%(820만 가구)까지 증가했습니다. 도쿄도 전체 주택의 11%가 넘는 81만 7000가구가 빈집이라고 합니다.
일본 정부는 2015년 '공가대책특별조치법'을 만들어 화재 위험이 높고 범죄의 온상이 되는 빈집에 대해 지자체가 철거 등 행정조치를 취할 수 있게 했습니다.. 국내에서 전문가들도 "앞으로 정부가 주택 공급에만 치중할 게 아니라, 기존 주택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정비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앞으로 올 수 있는 빈집 쇼크에 대해서 올려 보았습니다.

반응형

Post

반응형

 

안녕하세요~은총 맘입니다~^^

 

여러분들 명절 잘 보내셨나요??

 

오랜만에 친척들 얼굴도 보고 맛있는 음식도 먹으면서 좋은 점들도 많지만..

 

보통 여성분들은 명절 하면 좋은 점보다 대부분이 싫어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명절을 보내면서 여러 가지로 받은 스트레스 때문이죠!

 

 

< 명절증후군이란? >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곤하고 장거리 귀향 과정으로 가사노동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명절증후군이 발생됩니다.

 

 

< 명절증후군 증상? >

 

명절 스트레스로 인해서 두통, 어지러움, 위장장애, 소화불량, 근육통과 같은 신체적 증상이나 우울하고 불안해지며 기력이 떨어지는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주부들에게 나타나지만 남성, 미혼자나 취업준비생들에게도 나타나기도 합니다.

 

 

 

< 명절증후군 예방?>

 

명절증후군이 나타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장거리 운전이나 가사 음식 준비 등을 할 때 정기적인 휴식과 스트레칭 통해 근육 긴장을 풀어 줍니다.

 

2. 가족 구성원 모두 명절 준비를 분담하여 과도한 노동이 집중되지 않도록 배려가 필요합니다.

 

3. 음식을 만들 때 바닥에서 많이 하는 데 허리와 무릎에 무리가 갈 수 있으니 바닥보다는 식탁에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4. 피할 수 없으면 즐기자!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스트레스받기보다는 마음의 여유를 갖는 게 중요합니다.

 

 

 

 

< 명절증후군 극복? >

 

 

1. 극장이나 공연장에서 재미있는 영화나 공연을 보면서 기분 전환해보기

 

2. 아픈 근육과 지친 피부에 생기를 주는 스파나 마사지받아보기

 

3. 친구들과 분위기 좋은 레스토랑에서 맛있는 식사 하면서 수다 떨기

 

4. 자기만의 시간을 가져보면서 휴식 취하기

 

 

가장 중요한 것은 명절증후군이 나타나지 않도록 옆에 있는 가족들이 도와는 주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잔소리나 남과 비교하는 말보다 서로 따뜻한 말과 함께 같이 도와주면서 스트레스받지 않도록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명절을 보내면 명절증후군은 나타나지 않을 것 같아요~^^

반응형
▲ top